ISO/IEC 17024 국제자격인증은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시행하는 제도로서 전세계 167개국에서 인증되는 제도입니다.
ISO/IEC 17024 국제자격인증은 2019년 부터 시작을 하였으며, 2021년 부터 보건건강, 식.음료 분야 등을 시작 하였습니다.
ISO 국제표준 자격은 전세계 대부분의 기업, 관공서, 기관 등에서 도입하고 있는 국제표준 입니다. ISO/IEC 17024는 국제 표준화기구 ISO 에서 167개국을 대상으로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여 각 기업 및 단체, 기관등에 인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.
국제표준화기구 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) 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제개인자격인증 제도로 캐나다 Standards Council of Canada(SCC)의 승인을 통하여 전세 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, 세계 167개국에서 통용되는 국제자격 입니다.
ISO/IEC 17024는 기술혁신의 속도가 빨라지고, 개인의 전문화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, ISO 인증 기업, 단체, 기관 등에 최적화 된 인재에 대한 인증 체계의 도입 필요성에 따라 개발되었습니다.
ISO/IEC 17024는 개인의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전 세계 국가에서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고, 세계 167개국에서 활동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국제 개인자격인증 표준으로 운영되는 ISO/IEC 17024 부문 종목별 자격인증으로 운영 됩니다.
본 자격인증은 세계 167개국에 동일한 표준 기준 으로 운영되며, 분야별 교육, 경력 등에 따라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, 국제자격인증 시험은 매 뭘 또는 격월로 진행 합니다.
교육은 각국에 있는 국제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, 자격검정 시험에 응시 할 수 있습니다.
세계적 권위ISO 국제자격증은 기업, 기관, 제품 등 인증 뿐만 아니라 우수 인력을 나타내는 세계적 권위를 가진 자격증 |
세계 최초/유일 국제 자격증ISO 국제자격증은 일반 협회 및 국가에서 발행하는 자격증이 아닌 국제기구에서 인증 하는 세계최초 및 유일한 국제자격증 |
|
국제표준화 기구국제 표준화 기구는 세계 기업 및 기관 등의 시설, 제품 등의 표준화를 심사 및 인증하는 국제기구 |
세계적 범용 자격증세계 167개국 에서 인정 및 사용이 가능한 자격증으로 세계적인 범용성을 가진 자격증 |
|
국제적 인재임을 증명ISO 국제자격증은 엄격한 교육 및 수검을 통하여 국제적인 우수 인재임을 증명하는 자격증 |
해외 취업 및 창업 시 우대대부분의 해외 기업이 인증하는 ISO 는 해외 기업 취업 시 우대를 받을 수 있으며, 이민, 창업, 유학 등에 유리한 자격증 |
취업 시 우대 자격증ISO 국제자격증은 국제 표준 인증을 취급 하는 모든 나라에서 통용되므로 국내 및 해외 취업 시 우대를 받을 수 있음 |
최고의 스펙ISO 국제자격증은 해당 분야 또는 산업에서 필수 적인 표준화 및 요구사랑을 충족 하는 인재임을 나타내는 공인 전문가 자격으로 최고의 스팩 |
|
광범위한 취업 영역ISO 인증은 대부분의 기업이 인증을 받고 있으며, 많은 기업이 ISO 자격증을 취득한 우수인재에 대하여 취업 시 가산점을 적용 하는 추세 임 |
전문가로서의 차별화ISO 국제자격증을 취득하면 기업의 표준화 및 전문 화에 적합한 인재임을 공정하게 증명 할 수 있는 차별화 된 자격증 |
|
승진.이직등에 유리한 자격증ISO 국제 자격증은 직무, 기술, 비즈니스등의 기업 및 기관에 적합성을 확보한 인재임을 명확 하게 증명 자격증으로 승진이나 이직 등에 우위를 점 할 수 있음 |
개인의 기술과 지식 함양ISO 국제자격증은 기업에서 필요한 표준화된 지식 및 기술에 대한 능력을 함양 할 수 있으 며 개인의 능력을 나태 낼 수 있음 |
각 부문별 교육, 시험 및 자격인증으로 진행되며, 각 교육센터는 관련 교육 및 검정 부분을 본부 와 협력하여 진행 합니다.
교육 분야
|
각 분야별 교육 시스템 구축 - 교육기관 / 협력기관 - 교육강사양성 - 교육교재 - 교육교재 - 교육실시 해외교육을 위한 국제전문 강사 양성 ISO 인증 심사원 양성교육 |
검정 분야
|
ISO/IEC 17024 인증 교육기관에 서 교육 이수 후 ISO/IEC 17024 시험 응시함 각 분야별로 시험을 위한 시스템 구축 - 접수처, 시험장, 시험감독 - 시험문제 (국제공동) - 각 국가별 시험일자 |
인증 분야
|
각 분야 시험 에서 합격한 경우 국제자격 인증서 발급 함 - 간병사 - 한국어 - 뷰티 관련 - 외 70여 종목 |
ISO/IEC 17024 CARE GIVER 자격인증 시험은 1차, 2차 시험으로 나누어 지며, 합격한 자를 대상으로 자 격증을 발급하며, 교육은 ISO 인증 교육원 및 기관에서 실시하며, 교육을 이수한 자만이 시험에 응시 할 수 있고, 전 세계 167개국이 동시에 시험을 실시 합니다.
인증교육원
교육 실시
인증교육원을 통한 교육 및 교육수료증 발급
자격 시험
응시 접수
인터넷을 통하여 응시 원서 작성 후 응시료 납부 및 응시번호발급 1차 필기시험을 지정된 한국 및 각국에서 실시함
1차
필기시험
1차 필기시험을 지정된 한국 및 각국에서 실시 함. 불합격자는 재응시 가능
2차
실기시험
1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며, 2차 시험에 불합격한자는 1 차 시험 합격한 날로 부 터 1년 동안 실기시험 응시가능
자격증
발급
2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자격증을 발급하며 유효기간은 3년이며, 3년마다 갱 신 함
구 분 |
내 역 |
|
연령 |
제한 없음 |
|
교육 |
지정 교육기관에서 60시간 이상 교육 수료한 자 |
|
자격취득 대상 |
제한 없음 |
|
검정 |
Pre Test |
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자인지 검정 ,OX 10 문항 |
1차 Test |
Pre Test 합격자 대상으로 40문항 객관식 시험 |
|
2차 Test |
1차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기 시험 |
|
연수 교육 |
자격 취득 대상자는 매년 연수교육을 수료 하여야 함 |
|
자격 갱신 |
해당기관에 종사한 경력자 또는 자격 갱신 시험 통과 한 자를 대상으로 매 3년마다 평가하여 자격 갱신함 |
국제간병사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, 입원, 간병, 퇴원 등의 환자 케어에 관련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문가로서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지식과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 보조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 등의 능력을 갖춘 전문가
|
|
Large Category |
Middle Category |
Small Category |
Detailed Classification |
이론 |
실기 |
대분류 |
중분류 |
소분류 |
상 세 분 류 |
||
간병사 개요 |
간병사의 개념 |
간병사의 역할과 기능 |
간병의 개념, 인간의 기본요구와 간호, 직업적태도, 간병사의 역할과 기능, 간병사의 마음자세, 간병사의 업무내용 |
2 |
|
기본 간호 환경 |
이른 아침간호,아침간호,오후간호.저녁간호 |
||||
환자 간병 |
간병 및 위생 |
활력증상 |
체온,맥박,혈압,호흡 |
4 |
3 |
침상만들기 |
침상관리,침상에 필요한 물품,침상의 종류 |
||||
무균과 위생 |
무균과 위생 |
||||
개인 위생 |
피부,구강,머리,욕창 |
6 |
4 |
||
환자 간병 |
식사 돕기 |
환자식사, 식사보조,위관 영양 노인식사와 영양관리 |
|||
배변 돕기 |
화장실 사용,침상배설,이동변기사용 기저기사용.유치도뇨관 사용 돕기 |
||||
환자 위생 |
구강.두발.손발.회음부 청결 돕기, 세면.목욕 돕기, 옷갈아입히기 |
||||
환자 체위변경 및 이동 |
침상이동, 휠체어 이동, 보행(자가, 기구), 이송 돕기 |
3 |
3 |
||
검사 돕기 |
일반검사, 특수검사 |
||||
환자안전 및 보호 |
낙상/미끄러짐/넘어짐 예방 감염예방 및 욕창예방, 흡인 |
Large Category |
Middle Category |
Small Category |
Detailed Classification |
이론 |
실기 |
대분류 |
중분류 |
소분류 |
상 세 분 류 |
||
환자간병 |
환자간병 |
질환 및 상황별 간병 |
*질환별 - 외과계통, 순환기계, 호흡기계, 비뇨기계, 소화기계, 암환자 등 *상황별 - 구강 문제, 호흡.환기문제, 비뇨기 문제, 식욕부진문제, 배변문제, 수면문제, 피부문제(욕창), 수분불균형문제 신체거동문제, 체온조절문제, 영양문제 |
6 |
4 |
환자 재활 |
재활운동 |
재활운동의 종류 및 방법 |
재활운동의 필요성,재활운동의 종류,주의사항 |
2 |
|
재택간병 |
재택간병의 준비, 방의 준비, 침대와 온돌, 휠체어에 옮기기 |
||||
노인케어 |
노인 케어 개요 |
노화 개념 |
노화의 생리학적 측면 노인환자의 재활치료 |
4 |
2 |
노인질환과 간병 |
노인성 질활의 특성 노인성 질환과 간병 |
||||
구축예방 간병 |
체위와 자세 |
||||
약물 투약 상식 |
약물 투약법 먹는약의 복용방법 외용약의 사용법 투약시 주의할 점 |
Large Category |
Middle Category |
Small Category |
Detailed Classification |
이론 |
실기 |
대분류 |
중분류 |
소분류 |
상 세 분 류 |
||
노인케어 |
치매 개면 및 관리 |
치매 개념 |
치매의 개념, 치매증상, 건망증과 기억장애 치매 원인과 질병 치매의 치료 및 예방 |
||
치매환자의 관리 |
치매환자의 유형 치매환자 행동장애 치매환자 치료적 접근 간병시 실제적인 고려사항 |
2 |
|||
치매환자 간병 |
치매 환자 간병 |
행동장애의 접근 방법 |
2 |
2 |
|
치매 환자와의 의사소통 |
간병사의 태도 및 주의점 치매환자 대화시 주의사항 치매노인과 원활한 의사소통 응급처치 |
||||
치매 환자 간병법 |
식사,목욕 등 환자 관리 |
||||
임종간호 |
임종간호 |
환자 죽음 , 임종환자의 간병기준 간병시 주의사항 바람직한 간병행위 4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간병행위 임종환자의 신체변화 임종환자의 신체준비 , 사후 처치 |
2 |
Large Category |
Middle Category |
Small Category |
Detailed Classification |
이론 |
실기 |
대분류 |
중분류 |
소분류 |
상 세 분 류 |
||
호스피스 |
호스피스 개요 |
호스피스 정의 |
호스피스의 정의 호스피스의 유래 호스피스 활동 |
3 |
|
호스피스와 윤리 |
호스피스와 생명 윤리 호스피스의 윤리문제 호스피스 윤리적 의사결정 |
||||
호스피스의 목표 |
호스피스에 대한 배려 호스피스 교육과 실무 호스피스의 효율적 운영 |
||||
호스피스 환자간 병 |
호스피스와 임종 간병 |
사회적인 동통 심리적인 동통 종교적인 동통 신체적인 동통 사별관리 임종단계 사후 처리 |
4 |
2 |
|
시간 |
40 |
20 |
|||
6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