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인 및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,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, 한국어를 통하여 한국문화, 역사, 정치, 경제 등 각 분야에서 한국을 이해하고 한국어를 올바르게 사용을 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신뢰와 이해를 높이고, 한국 또는 한국과의 거래, 유학, 취업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어 사용능력 평가시험을 말한다.
6급 : 언론인, 방송인, 저술가, 작가, 국어관련 교육자, 기획 및 홍보 업무 책임자 등의 업무수행
5급 : 언론인<, 방송인, 저술가, 작가, 국어관련 교육자, 기획 및 홍보 업무 수행
4급 : 일반 업무 수행
3급 : 일정 범위 내에서 일반 업무수행
2급 :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공공시설 이용에 필요한 기능 수행
1급 : 사적인 대화나 친숙한 화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
시험과목
등급 |
검정방법 |
검정과목(분야 및 영역) |
비고 |
6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 독해 능력평가 |
|
5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 독해 능력평가 |
|
4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 독해 능력평가 |
|
3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독해능력평가 |
|
2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 독해 능력평가 |
|
1급 |
객관식, 필기 |
한국어듣기평가, 한국어 독해 능력평가 |
|
문제유형
한국어 등급기준
구분 |
무급 |
1급 |
2급 |
3급 |
4급 |
5급 |
6급 |
등급결정 |
60점 |
61-80점 |
81- 100점 |
101 - 125점 |
126 - 150점 |
151 - 175점 |
176점 이상 |
수준 |
ISO/KLT-EPS |
|
|
한국어 강사 |
1-2등급 : ISO/KLT- EPS 등급입니다. 한국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 소통능력 및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한국어 구사능력,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하는 수준입니다.
3-4 등급 : 한국의 대학에 입학 또는 졸업을 하는 수준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없으며, 대학의 학업에 문제가 거의 없는 수준 입니다.
5-6 등급 : 한국에서의 전문적인 영역의 업무를 수행하거나, 한국어 강사를 할 수 있는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수준 입니다.
한국어 능력평가 문제구성
검정 |
구성 |
part |
part 내용 |
문항수 |
시간 |
배점 |
||
사전 시험 |
O,X 평가 |
1 |
한국어 기초 |
10 |
20 |
10 |
||
본시험 |
듣기 |
1 |
사진묘사 |
5 |
50 |
50분 |
100점 |
|
2 |
질의응답 |
15 |
||||||
3 |
짧은 대화 |
15 |
||||||
4 |
설명문 |
15 |
||||||
독해 |
5 |
단문공란 메우기(문법/어휘) |
20 |
50 |
50분 |
100점 |
||
6 |
장문공란 메우기 |
5 |
||||||
7 |
독해 |
단일 지문 |
15 |
|||||
복수 지문 |
10 |
|||||||
합계 |
7part |
100문제 |
100분 |
200점 |
검정기준
등급 |
Level |
수 준 |
평가 기준 |
1급 |
입문 |
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국어를 조금 이해하고 표현 할 수 있음 |
|
2급 |
기초 |
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기초적인 직업적 표현, 비즈니스 표현 등을 할 수 있음 |
|
3급 |
초급 |
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없으며,상황에 따른 대처능력 및 언어표현을 하고, 간단한 비즈니스등의 표현과 간단한 토론을 할 수 있음 |
|
4급 |
중급 |
다양한 언어표현 및 특정분야의 |
|
5급 |
고급 |
일상 생활에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,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이해를 하고 사용 할 수 있음 |
|
6급 |
전문 |
한국인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 할 |
|
응시자격
성적표 유효기간
응시자 유의사항